top of page
검색

미리스타르제놀A의 신경보호 효과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 2023년 1월 4일
  • 0분 분량

제목

미리스타르제놀A의 신경보호 효과

추천 논문 연구

Park, Jung-Soo, Jong-Hwa Park, and Ki-Young Kim. "Neuroprotective effects of myristargenol A against glutamate-induced apoptotic HT22 cell death." RSC advances 9.54 (2019): 31247-31254.

https://pubs.rsc.org/en/content/articlehtml/2019/ra/c9ra05408a

선정 이유

글루탐산염은 중추신경계의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이지만, 고농도에서는 흥분독성과 많은 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킴. 흥분독성은 세포자멸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발함. 따라서 아포토시스 경로를 억제할 수 있는 인자는 신경변성 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약물 개발의 대상이 됨. 여기서 글루탐산유도 마우스 해마신경 HT22세포에서 미리스타르제놀A의 항산화 및 신경보호 효과를 조사했음. 이러한 결과는 미리스타르제놀 A가 글루탐산염에 의해 야기되는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신경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 신경세포 보호효과로 인해 항 노화와 관련성이 있어 본 논문을 선정함.

주요 내용

본 논문은 우리가 사용하는 세포중에 하나인 HT22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있음. HT22 세포를 글루탐산염으로 스트레스 받으면 대조군 세포와 비교했을 때 세포 세포의 생존에 있어서 부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미리스타르제놀 A로 처리했을 때 세포 생활성이 증가하였음. 글루탐산염에 의해 유도된 HT22 세포의 아폽토시스에 대한 미리스타르제놀 A의 보호 효과도 FITC-안넥신 V/프로피듐 요오드화 이중염색을 후 flowcytometry를 통해 확인되었음. 또한 미리스타르제놀A는 미토콘드리아막전위를 보호하였음. 그 후, 아폽토시스 유도와 관련된 카스파아제 경로의 단백질 발현 수준이 감소하였음. 또한 Bcl-2, Bax 등 미토콘드리아 관련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조사한 결과, Bax/Bcl-2의 발현 비율이 감소하였다. 이는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에 있어 세포의 생활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의미함.

시사점

다음 논문을 통해 우리가 항 노화 연구에 이용하고 있는 세포의 생활성 측정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특정 약물을 처리하고 그 대조군과 생활성의 비교를 통해 해당 약물의 효과를 알아 볼 수 있음. 따라서 특정 세포를 이용한 약물 스크리닝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음을 시사함.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제목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추천 연구 논문 Molecular Dynamic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za Hemagglutinin Conformational Changes in Acidic pH 선정...

 
 
 

Comentarios


과기부.jpg
연구재단.jpg
logo.jpg

#520, Research and Business Cooperation Build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ro 2511, Sejong City, 30019, Republic of KOREA

© 2022 by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