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불면증의 약물 치료에 대한 비교 분석 |
추천 연구 논문 | Comparative effects of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the acute and long-term management of insomnia disorder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Lancet, VOLUME 400, ISSUE 10347, P170-184, JULY 16, 2022, https://doi.org/10.1016/S0140-6736(22)00878-9) |
선정 이유 | - 급성 및 만성 불면증의 1차 표준 치료는 인지행동치료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다양한 약물들이 불면증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고 사용되고 지고 있음. 그 중에서, 불면증 치료를 위해 FDA 승인을 받은 약물 뿐 아니라, 승인을 받지 않은 약물까지 포함하여 실제 불면증에 대한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해 비교 평가를 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유의미할 수 있겠음. - 비교 결과를 통해 효과 및 안정성에서 우월한 약물의 화학적, 약리학적, 임상적 특징을 바탕으로 신규 약물 후보 물질 발굴을 위해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겠음. |
주요 내용 | - 연구에서는 154개의 이중 맹검 무작위 시험을 사용하여 임상적으로 관련된 결과에 걸쳐 급성 및 장기 치료를 위한 불면증 약물의 효과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수면의 질(유효성), 모든 원인으로 인한 중단(허용성), 유해 사례(내약성), 및 적어도 하나의 유해 사례(안전성)의 존재와 다른 시점(즉, 급성 및 장기 치료)에서의 모든 결과를 고려할 때, lemborexant와 eszopiclone 두 종류의 약물이 효능, 수용성 및 내약성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음. 그러나 eszopiclone은 상당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lemborexant에 대한 안전성 데이터는 결정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이 둘의 근거 수준은 낮다고 할 수 있겠음. - 임상적으로 불면증 치료를 위해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벤조디아제핀과 졸피뎀은 장기간 치료에서 처방을 뒷받침할 증거가 충분하지 않았음. |
시사점 | - 이 네트워크 메타 분석의 결과는 성인의 불면증 장애에 대한 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선택을 안내하는 가장 유용한 근거 기반을 나타내며 정책 입안자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 임상의사 간의 공유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될 것임. - 한 약물의 장점을 다른 약물과 비교하는 연구는 현재 분석의 잠재적 한계, 이용 가능한 근거의 질, 환자 집단의 특성, 용량 또는 치료 설정의 선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해석되어야 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신규 약물 개발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겠음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