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생체리듬 연구를 위한 미세유체학적 접근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 2022년 5월 22일
  • 0분 분량

제목

생체리듬 연구를 위한 미세유체학적 접근

추천 연구 논문

A Microfluidic Approach for Experimentally Modelling the Intercellular Coupling System of a Mammalian Circadian Clock at Single-cell Level. Lab Chip, 2020,20, 1204-1211. https://doi.org/10.1039/D0LC00140F

선정 이유

생체리듬은 시교차 상핵의 통제로 다양한 유전자의 통제를 통해 유지됨.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은 24시간을 주기로 진동함. 이 외에도, 혈관 활성 장 펩타이드(VIP), 아르기닌 바소프레신 펩타이드(AVP) 및 감마 아미노부티르산(GABA)를 포함한 신경전달 물질이 시교차 상핵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생체시계리듬을 유지함. 특히 혈관 활성 장 펩타이드(VIP)는 시교차 상핵에 작용하는 여러 신호들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시교차 상핵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수용체에 결합을 형성하는데, 이로서 동기화를 형성하며 해당 논문은 이를 자세히 밝히고자 하였음. 기존의 페트리디쉬에서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배지교환과정에서 발생하는 혈청 공급 및 온도 유지의 불안정으로 발생되는 불규칙적 요인이 생체리듬을 연구하는데 큰 방해요인으로 작용함. 본 연구진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미세유체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기에 다음 논문을 선정함.

주요 내용

​네 개의 독립된 공간을 구성한 미세유체 장치에서 각 공간에 섬유아세포(Cry1, Per2 및 Bmal1유전자 결손세포주와 정상세포주, 각 세포주는 VIP의 수용체를 발현하며 이를 형광으로 나타냄)를 각각 배양하였음. 미세유체 장치의 활용으로 VIP의 주기적으로 투입함. 각 결손의 세포주는 각기 다른 주기 패턴의 형광을 관찰하였음.

시사점

본 연구는 수면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분자적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미세유체 장치를 활용한 연구로서 단세포수준에서 약물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제목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추천 연구 논문 Molecular Dynamic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za Hemagglutinin Conformational Changes in Acidic pH 선정...

 
 
 

Comments


과기부.jpg
연구재단.jpg
logo.jpg

#520, Research and Business Cooperation Build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ro 2511, Sejong City, 30019, Republic of KOREA

© 2022 by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