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생체 시계 조절 메커니즘과 화합물의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암 치료 |
추천 연구 논문 | CRY2 isoform selectivity of a circadian clock modulator with antiglioblastoma efficacy |
선정 이유 | 해당 논문은 생체 시계 조절 메커니즘과 이를 이용한 화합물의 개발, 그리고 이를 활용한 암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분야는 현재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생체 시계의 조절 메커니즘과 이를 이용한 암 치료 등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과 생체 시계를 조절하는 화합물의 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토대로,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암 치료 및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되어 선정하였다. |
주요 내용 | 이 논문에서의 KL001과 SHP656은 circadian clock을 조절하는 화합물이다. 해당 논문에서는 이 두 화합물이 어떻게 circadian clock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이들이 뇌종양 세포인 glioblastoma에 대한 항암 효과를 갖는지도 조사했다. KL001과 SHP656이 어떻게 CRY1, CRY2와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CRY1/2-KL001 및 CRY2-SHP656 complex의 MD simulation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이 두 화합물이 CRY 단백질의 결합 부위와 상호작용하며, CRY1/CRY2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HP656이 CRY1/2 단백질의 비교적 표면적이 큰 부분에 결합하고, 이를 통해 단백질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이 논문에서 SHP1703은 KL001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 circadian clock 조절제로 사용되는 KL001과는 달리, 이 연구에서는 glioblastoma 치료제로서의 효능을 연구했다. 해당 연구진은 SHP1703의 항암 효과와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였으며, SHP1703이 glioblastoma 세포주에 대해 세포 독성을 나타내며, 세포주에서 적극적인 세포사멸 촉진 작용을 일으켰다고 했다. 또한 SHP1703이 glioblastoma 세포주에서 circadian clock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사점 | 해당 논문에서는 생체 시계를 조절하는 화합물인 KL001과 이 화합물의 파생체인 SHP656을 사용하여, 생체 시계 단백질 CRY1/2의 작용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생체 시계를 조절하는 새로운 화합물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glioblastoma 치료제 개발을 위해, 생체 시계를 조절하는 화합물인 SHP1703의 항암 효과와 작용 메커니즘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생체 시계와 암 등의 질병 및 생리적 현상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양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더 나아가, 생체 시계를 조절하는 화합물들이 암 치료나 다른 질병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암 치료 연구 및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