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수면 부족에 의한 생체리듬의 교란 관련 urinary 단백체학 연구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 2023년 8월 28일
  • 0분 분량

제목

수면 부족에 의한 생체리듬의 교란 관련 urinary 단백체학 연구

추천 연구 논문

A Pilot Urinary Proteome Study Reveals Widespread Influences of Circadian Rhythm Disruption by Sleep Deprivation, Appl Biochem Biotechnol (2023) (doi.org/10.1007/s12010-023-04666-9)

선정 이유

- 생체리듬의 교란이 건강에 단기 또는 장기적으로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짐.

- 많은 이전 연구들은 분자 메커니즘의 탐구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생체리듬 교란 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 빠르고 편리하며 비침습적인 방법은 없음. 따라서 본 연구는 처음으로 pilot-study 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선정함.

주요 내용

- 본 논문에서는 수면 부족 후 생체리듬 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레스 변화를 밝혀내기 위해 요단백질체가 가능한지 탐구하기 위해 고해상도 질량 분석법 기반 데이터 독립적 취득(DIA) 정량 요단백질체 접근법을 수행함.

- 수면 부족 후, 대상자들은 정상 수면과 비교하여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함.

- 2000개 이상의 단백질이 정량화되었으며, 이들은 전신의 다양한 장기에 대한 특정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음.

- 그리고 수면 부족 후 총 177개의 유의하게 상승한 단백질과 68개의 유의하게 하강한 단백질이 얻어졌음.

-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단백질(DEPs)은 다양한 장기와 경로와 관련되어 있으며, 수면 부족의 광범위한 영향을 반영합니다.

- 또한, 기계 학습은 생체리듬 교란을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5개의 DEPs(CD300A, SCAMP3, TXN2, EFEMP1, MYH11) 패널을 식별함.

시사점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생체리듬 교란에 의한 변화를 예측하고 진단하는 요단백질체의 가치를 검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큼.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제목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추천 연구 논문 Molecular Dynamic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za Hemagglutinin Conformational Changes in Acidic pH 선정...

 
 
 

تعليقات


과기부.jpg
연구재단.jpg
logo.jpg

#520, Research and Business Cooperation Build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ro 2511, Sejong City, 30019, Republic of KOREA

© 2022 by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