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식물 추출물을 이용해 자가 포식을 유도하여 항노화 효과를 일으킴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 2023년 2월 28일
  • 0분 분량

제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해 자가 포식을 유도하여 항노화 효과를 일으킴

추천 연구 논문

The flavonoid 4,4′-dimethoxychalcone promotes autophagy-dependent longevity across species

선정 이유

노화는 악성, 심혈관 및 신경 퇴행성 질환을 포함한 모든 주요 만성 질환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소임. 그러나 노화시 건강을 증진 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잠재력을 가진 행동 및 약리학 적 개입은 드믐. 식물 추출물 사례 조사를 통해 작동기작에 노화와 관련된 기작을 같이 파악할 수 있어 본 논문을 선정함.

주요 내용

플라보노이드 4,4'-디메톡시칼콘(DMC)이 노화 방지 특성을 가진 천연 화합물로 식별되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함. 외부 DMC 투여는 효모, 벌레 및 파리의 수명을 연장하고 인간 세포 배양의 노화를 늦추며 장기간의 심근 허혈로부터 마우스를 보호함. 동시에 DMC는 효모에서 마우스로의 세포 보호 효과에 필수적인 자가포식을 유도함. 이 친자가 포식 반응은 신진 대사의 보존 된 전신 변화를 유도하고 TORC1 신호 전달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특정 GATA 전사 인자에 의존함. 특히, 우리는 식물 Angelica keiskei koidzumi (신선초)에서 DMC를 추출하며, 이는 아시아 전통 의학에서 장수 및 건강 증진 효과가 기인함. 요약하면, 식물 추출물에서 얻은 DMC 플라보노이드를 통해 노화 방지 약물의 보존 된 수명 촉진 효과를 확인하고 기계적으로 특성화함.

시사점

광범위한 종에서 자가포식을 유도하여 세포활성을 촉진하는 신선초 식물 추출물의 발견으로 항노화 연구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됨. 하지만 인간의 경우 세포 수준에서만 연구가 진행되었고, 인간에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임.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제목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추천 연구 논문 Molecular Dynamic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za Hemagglutinin Conformational Changes in Acidic pH 선정...

 
 
 

Comments


과기부.jpg
연구재단.jpg
logo.jpg

#520, Research and Business Cooperation Build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ro 2511, Sejong City, 30019, Republic of KOREA

© 2022 by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