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인간 피부 세포를 모사한 칩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추천 연구 논문 | Prokopov, Aleksei, et al. "Effect of a hyaluronic acid‐based mesotherapeutic injectable on the gene expression of CLOCK and Klotho proteins, and environmentally 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skin cells." 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22.1 (2023): 156-172. https://doi.org/10.1111/jocd.15078 |
선정 이유 | 본 논문은 히알루론산을 기반으로 한 피부주사제가 피부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의 연구임. CLOCK 및 Klotho 단백질의 발현과 환경적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있음. 피부 노화 치료법을 연구하는 데 생체시계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기에 본 논문을 선정함. |
주요 내용 | 본 논문은 히알루론산을 기반으로 한 두 가지 주사제의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CLOCK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음. 또한, Klotho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혼합 각질세포와 Merkel세포 모델에서 인간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시계 리듬을 표시하는 마커로서 멜라토닌 수용체 및 Klotho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하여 보여주고 있음. 또한, 각종 환경적 산화 스트레스 (Blue light, UVA / UVB, 도시 먼지 및 IR 노출)에서의 효과를 조사하여 히알루론산의 보호 효과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시사점 | 본 연구는 피부 노화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 CLOCK와 Klotho 단백질, 멜라토닌 수용체의 발현 조절에 히알루론산의 중요성을 입증함. 또한, 이 연구는 Blue light 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히알루론산의 보호 효과를 보여줌.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더욱 정확한 연구를 통해 히알루론산의 잠재적인 이점을 더욱 확실히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줄 것임. |
top of page
BCA2-RLRC;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RLRC : 한국연구재단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Regional Leading Research Center of NRF)
바이오 헬스 분야 혁신 산업을 선도하는
생체시계 - 항노화 융합 RLRC
검색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제목 Atmospheric microplastics: Challenges in site- and target-specific measurements 추천 연구 논문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178 (2024)...
제목 노화 세포 상태와 간암의 역설적 연관성 해결 추천 연구 논문 FBP1 controls liver cancer evolution from senescent MASH hepatocytes, Nature, 637, 461-469 (2025) 선정...
제목 Cell-type-specific aging clocks to quantify aging and rejuvenation in neurogenic regions of the brain 추천 연구 논문 Cell-type-specific...
bottom of page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