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코티졸은 해마세포내 Zn2+의 방출을 증가시킴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 2023년 1월 25일
  • 0분 분량

제목

코티졸은 해마세포내 Zn2+의 방출을 증가시킴

추천 연구 논문

Zheng, Yuanyuan, et al. "Corticosterone increases intracellular Zn2+ release in hippocampal HT-22 cells." Neuroscience Letters 588 (2015): 172-177.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439401500021X

선정 이유

다양한 스트레스에 의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이 활성화되면 글루코콜티코이드 분비가 증가함. 반복적인 HPA 축 활성화는 해로운 생리학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뇌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예를 들어 반복적인 스트레스와 HPA 축의 과활성화는 수면패턴의 부조화와 함께 노화, 유울증의 발병, 등과 관련이 있음. 본 연구진의 연구를 우리가 진행하는 HPA시스템에 대한 연구에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본 논문을 선정함.

주요 내용

본 연구진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은 쥐의 행동과 아연함량 감소와 우리 아연의 증가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일반적인 플래이트를 이용하여 HT22 세포를 배양을 하여 여기에 다양한 농도조건의 Corticosterone을 처리하고 FlouoZin-3-AM dye staining 후 flow cytometer를 진행하여 Corticosterone처리시 세포내 아연의 농도가 증가함을 하지만, 세포외 방출은 증가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음. 또한, 그 결과 처리에 따른 세포 생활성이 감소하고, Reactive oxygen species(ROS)가 증가하며, adenosine triphosphate(ATP)생산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음.

시사점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에서 중요한 물질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해마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수 있었으며, 세포내 아연의 방출 증가로 인하여 파생되는 다양한 효과로 인하여 다수의 물질 분석을 통해 HT22세포의 관찰 및 추적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제목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추천 연구 논문 Molecular Dynamic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za Hemagglutinin Conformational Changes in Acidic pH 선정...

 
 
 

Comments


과기부.jpg
연구재단.jpg
logo.jpg

#520, Research and Business Cooperation Build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ro 2511, Sejong City, 30019, Republic of KOREA

© 2022 by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