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RORγt를 선택적으로 저해하기 위한 Dual Target 저해제 합성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 2022년 10월 24일
  • 0분 분량

제목

​RORγt를 선택적으로 저해하기 위한 Dual Target 저해제 합성

추천 연구 논문

​Orthosteric and Allosteric Dual Targeting of the Nuclear Receptor RORγt with a Bitopic Ligand

선정 이유

​이 연구는 각 화합물이 다른 site를 동시에 표적으로 삼는 화합물에 linker로 연결하여 약물의 selectivity를 증가시켰다. 두 site를 동시에 고려한 해당 연구는 약물을 디자인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 것이라 기대하여 해당 논문을 선택하였다.

주요 내용

해당 연구는 생체시계와 관련된 ROR 단백질을 표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ROR의 Orthosteric site를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과 Allosteric site를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을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linker로 연결하여 동시에 저해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linker의 길이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RORα과 PPARγ보다 RORγt에 selectivity가 훨씬 증가한 화합물과 linker의 길이를 제시한다.

시사점

신약을 발굴하거나 설계할 때 일반적으로 Orthosteric site를 표적으로 지정하거나 특별한 경우나 목적에 따라 Allosteric site를 지정한다. 하지만 이 연구는 두 다른 site를 동시에 표적으로 삼는 물질끼리linker로 연결하여 약물의 효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물리 화학적으로 접근하는 in-silico를 통한 약물 설계에 위와 같은 연구 방법은 신약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제목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추천 연구 논문 Molecular Dynamic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za Hemagglutinin Conformational Changes in Acidic pH 선정...

 
 
 

Comments


과기부.jpg
연구재단.jpg
logo.jpg

#520, Research and Business Cooperation Build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ro 2511, Sejong City, 30019, Republic of KOREA

© 2022 by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