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처방전을 통한 불면증 치료와 관련하여 전통 중국 의학의 잠재적인 메커니즘 분석 |
추천 연구 논문 | Potential mechanism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reating insomnia: A network pharmacology, GEO validation, and molecular-docking study |
선정 이유 |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할 때, 주로 기존 연구 결과나 알려진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을 시뮬레이션하여 그 메커니즘을 알고자 한다. 하지만 해당 연구팀은 실제로 처방에 대한 효과가 좋았던 기록을 가져와, 그 처방에 대한 타겟과의 메커니즘을 알아내기 위해, 해당 데이터를 통계 및 분석하였다. 실험적 및 연구적으로 알려진 결과들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또다른 가능성을 찾는 것이 아닌, 해당 연구팀은 현실에서의 처방전을 토대로 이를 통계내고 분석하여, 타겟 질병과의 연관성을 찾고, 이에 대한 메커니즘을 증명해냈다는 점이 인상깊었다. |
주요 내용 | 해당 연구팀은 먼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Qi Wang 학자가 사용한 불면증 처방전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TCM System Pharmacology database(TCMSP) 및 UniProt database를 이용하여 주요 한약의 활성 성분과 타겟을 예측했다. 또한 GEO database(GSE208668)의 유전자 칩 데이터를 통해 불면증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 간의 차별적으로 발현된 유전자(DEG)를 확인했다. 이후 TF-miRNA-mRNA network를 구축하고, 핵심 성분과 허브 타겟의 결합을 molecular docking simulation 및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을 통해 검증했다. 이에 대한 결과로, 총 117개의 처방전 중 65개의 주요 한약과 핵심 처방전을 식별했다. 핵심 처방전에는 Pinellia ternata(BX), Prunellae spica(XKC), Perillae folium(ZS), Lilii bu lbus(BH), Albiziae flos(HHH), Corydalis rhizoma(YHS), ardostachyos radix et rhizoma(GS), Sophorae flavescentis radix(KS)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β-sitosterol, stigmasterol, canadine과 같은 활성 성분이 interleukin-6, caspase-3, hypoxia-inducible factor-1α(HIF1A)와 같은 주요 타겟에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6417개의 DEG와 7개의 차별적으로 발현된 miRNA를 확인했으며, 이는 불면증 치료에 있어 잠재적인 유전적, 분자적 메커니즘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핵심 성분과 허브 타겟 간의 결합이 강력하고 안정적임을 molecular docking simulation과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본 연구는 TCM의 multiple components, targets, pathways 메커니즘이 불면증 치료에 유망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핵심 처방전과 주요 한약의 활성 성분이 다양한 분자 타겟에 작용하여 불면증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시사점 | 해당 논문은 TCM이 불면증을 치료하는 데 있어, 다중 성분과 다중 타겟을 활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유전자 발현 분석, molecular dock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등의 분석 기법을 통해 TCM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함으로써, TCM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과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생체 시계와 관련한 후보 물질을 찾는 것에 있어서, 기존에 존재하는 데이터나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 것도 좋지만, 이 연구팀처럼 실제 효과가 있었던 경험들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해보는 것도 후보 물질 발굴 및 메커니즘 연구에 있어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