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Human circadian system 이 저녁 빛에 반응하는 민감도와 개인간 변동성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 2022년 8월 10일
  • 0분 분량

제목

Human circadian system 이 저녁 빛에 반응하는 민감도와 개인간 변동성

추천 연구 논문

High sensitivity and interindividual variability in the response of the human circadian system to evening light. PNAS, 116 (24) 12019-12024 (2019). (https://doi.org/10.1073/pnas.1901824116)

선정 이유

현대 사회의 사람들은 저녁시간에 조명에 의한 광도 (30 ~ 300 lux)에 몇시간 노출됨. 이 광도 범위에서 저녁시간 멜라토닌이 억제되는 현상이 일어남. 이는 빛에 대한 감도의 개인 간 차이가 있는데, 이 차이가 24시간 주기 방해에 대한 취약성의 원인이 될 수 있음.

주요 내용

초기에는 human circadian system이 빛에 상대적으로 둔감하다고 여겨져왔음. 하지만 여러 연구결과, 빛의 강도에 따라 야행성 빛에 대한 circadian system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입증 되었음. 멜라토닌 억제반응은 약 ~100 lux의 조명 수준에서 일어나는것으로 보고됨. 현대사회의 조명 환경은 약 30 ~ 300 lux 정도로 사람마다 노출되는 시간이 다름.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되지 않은 빛에 의한 개인간 circadian system 영향에 대해 분석함. 총 27명의 남성, 29명의 여성, 평균 연령 18 ~ 30세의 사람들의 수면을 6 ~ 7주동안 다양한 빛의 광도로 관찰함. 빛의 노출 수준은 10, 30, 50, 100, 200, 400, 2000 lux 수준으로 취침전 4시간전 부터 취침 1시간 후까지 노출시킴. 매 시간마다 saliva sample을 채취하여 멜라토닌을 정량화 함. 멜라토닌의 억제현상을 ED50 (effective dose for 50% suppression)으로 나타낸 결과, 멜라토닌의 50% 억제는 30lux 미만에서 발생하였는데 (ED50 = 24.60lux), 이는 야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실내 조명과 비슷하거나 낮으며 전자 기기에서 생성되는 빛과 비슷함. 그런데 이 빛의 광도에 대한 민감도는 개인마다 50배 이상의 차이를 보임. 빛 감도의 개인 간 차이는 일주기 교란에 대한 차별적인 취약성과 인간 겅강에 대한 후속 영향을 설명할 수 있음.

시사점


현대 사회에서의 사람은 강렬한 광도 (>300lux) 또는 희미한 광도 (<30lux) 조명의 환경에 항상 노출되어있음. 특히 저녁시간 중간 광도에 몇 시간 동안 노출되는데 이 광도 범위에서 빛에 대한 개인간 감도 차이는 현대 조명에 의한 24시간 주기 방해에 대한 취약성의 원인이 될 수 있음. 가장 민감한 사람의 경우 6lux 에서도 멜라토닌 억제반응이 일어남. 이는 휴대전화에서 생성되는 빛만으로도 멜라토닌 감소가 일어 날 수 있음. (가장 둔감한 사람의 경우 350lux에서 멜라토닌 감소) 이 개인간 변동성은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서 24시간 생체시계 주기의 역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일 수 있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제목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추천 연구 논문 Molecular Dynamic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za Hemagglutinin Conformational Changes in Acidic pH 선정...

 
 
 

Comments


과기부.jpg
연구재단.jpg
logo.jpg

#520, Research and Business Cooperation Build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ro 2511, Sejong City, 30019, Republic of KOREA

© 2022 by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