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 4월 29일
  • 2분 분량

제목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추천 연구 논문

Molecular Dynamic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za Hemagglutinin Conformational Changes in Acidic pH

선정 이유

이 논문은 미세한 pH 변화가 HA 단백질 내 히스티딘(H1062)의 양성자화(protonation)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이것이 전체 단백질 구조의 변화로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Molecular dynamics(MD) simulation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생체시계 연구에서도 pH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백질 구조 변화는 매우 중요한 주제이므로, 이 논문은 생체시계 단백질의 구조 변화를 분석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주요 내용

이 논문은 HA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를 원자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HA2의 힌지 영역에 위치한 히스티딘(H1062)의 양성자화가 단백질 구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중성 상태(NP), 부분 양성자화 상태(1P, 2P), 완전 양성자화 상태(3P)로 구성된 총 4가지 조건의 HA 시스템에 대해 2.4μs 규모의 all-atom MD simulation으로 수행되었다. 총 28.8μs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통해 구조적 안정성, 수소결합, salt bridge, FP(fusion peptide) 방출, tilt 및 rotation 각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크게 5가지의 핵심 결과를 얻었다. 먼저, H1062 양성자화는 HA2의 S4 helix를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며, helix 간 간격을 벌리고 water penetration을 증가시켰다. 양성자화 정도가 높을수록 (3P), FP가 HA2 중심 helix로부터 떨어져 나가며 융합 전 중간 구조로 전환되는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HA1의 해리 가능성도 양성자화 조건에서 증가하여, HA1과 HA2 간 cavity 형성이 활발히 일어남을 관찰하였다. 또한 FP와 주변 S4 domain 간의 수소결합은 NP 조건에서 유지되지만, 3P에서는 대부분 붕괴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PCA(주성분 분석)를 통해 protonation이 FP의 구조적 다양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각적으로도 확인하였다.

시사점

생체시계 단백질(CLK, PER, CRY 등)도 세포 내 다양한 pH 환경(예: 핵, 세포질, 소포체 등)에서 활성이 조절된다. 이 논문은 pH 조건이 히스티딘 같은 특정 아미노산의 양성자화를 통해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생체시계는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는 단백질 복합체들로 구성된다. 이 논문에서처럼 양성자화 상태에 따른 구조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접근은, 향후 생체시계 연구에서도 단백질 간 상호작용 및 시간 지연 메커니즘을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entários


과기부.jpg
연구재단.jpg
logo.jpg

#520, Research and Business Cooperation Build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ro 2511, Sejong City, 30019, Republic of KOREA

© 2022 by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