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Microphysiological systems for human aging research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제목

Microphysiological systems for human aging research

추천 연구 논문

Park, S., Laskow, T. C., Chen, J., Guha, P., Dawn, B., & Kim, D.-H. (2024). Microphysiological systems for human aging research. Aging Cell, 23, e14070. https://doi.org/10.1111/acel.14070

선정 이유

2D 배양은 조직 구조를 재현하지 못하고, 오가노이드는 산소 및 영양 공급에 한계가 있으며, 동물 모델은 인간 생리와의 차이가 큼. 이 논문은 MPS(Microphysiological Systems)를 구축함. 이는 미세유체구조를 통해 산소, 영양소, 생체역학적 자극 등을 재현할 수 있음.

주요 내용

인간 노화 연구에서, 논문은 기존 모델에서 부족했던 미세 생리 시스템(MPS)의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 연구의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분석함. MPS는 2D 세포 배양, 동물 모델, 3D 오가노이드의 한계를 극복하며, 노화와 관련된 분자적, 세포적, 조직적 변화를 더 정밀하게 재현하고 연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세포골격의 변화, ECM(세포외기질)의 경직화, 염증 반응과 같은 주요 노화 표현형을 MPS를 통해 모사하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노화 관련 질환(알츠하이머병, 심혈관 질환, 골다공증 등)의 병태생리학을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음.


MPS는 미세 유체를 활용하여 산소와 영양분 공급을 최적화하며, mTOR, AMPK, SIRT1과 같은 주요 대사 경로의 조절과 노화 관련 기전을 연구할 수 있음. 또한, 다중 장기 시스템을 구현하여 노화가 장기 간 상호작용(예: 간-심장 축, 장-뇌 축)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노화의 복잡한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데 기여함. 이 과정에서 MPS는 약물의 효능과 독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기존 모델 대비 높은 생리적 충실도를 제공하며, 노화 관련 대사 및 면역 경로를 조절하는 약물 개발 가능성을 제시함. 이를 바탕으로 MPS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며, 인간 노화 연구와 신약 개발에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짐. 이 플랫폼은 노화 표현형과 질환 간의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론을 제공함.

시사점

이 논문은 미세 생리 시스템(MPS)을 활용하여 인간 노화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노화로 인한 세포골격 변화, ECM 경직화, 염증 반응 등 주요 생리적 변화를 정밀히 재현하고 연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안함. MPS는 다중 장기 시스템 구현을 통해 노화와 장기 간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노화 표현형과 관련 질환 간의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 이를 통해 MPS는 약물 개발과 효능 평가에서 기존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며, 노화 연구와 신약 개발의 정밀성을 높이고 정밀 의학의 발전에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보여줌.


조회수 4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우울증과 생체 리듬 바이오 마커 연구

제목 우울증과 생체 리듬 바이오 마커 연구 추천 연구 논문 Mining key circadian biomarkers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by integrating bioinformatics and machine...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