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환경적 일주기 교란이 간에서 일주기 단백체에 미치는 영향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 2024년 10월 23일
  • 1분 분량

제목

환경적 일주기 교란이 간에서 일주기 단백체에 미치는 영향

추천 연구 논문

Environmental circadian disruption re-writes liver circadian proteomes. Nat Commun. 2024 15(1):5537 (doi: 10.1038/s41467-024-49852-3)

선정 이유

- 일주기 유전자(circadian gene)의 발현은 세포 자율적이고 진화적으로 보존된 시간체계인 일주기 시계(circadian clock)의 확립과 기능에 필수적임.


- 그러나, 해당 유전자 발현이 교대근무, 시차와 같은 환경적 일주기 교란(environmental-circadian disruption, ECD)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관해서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논문을 선정함.

주요 내용

- 이 논문은 남성 간(liver)에서 정상 상태와 ECD 후 상태에서 전사체, 전 세포 단백체, 핵 단백체를 포함한 일주기 유전자 발현에 관한 종합적이고 비교적인 설명을 제공함.


- 두 가지 조건 모두에서, 전사 후 번역이 전사보다 일주기 기능적 결과에 대하여 주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남.


- ECD 후 경우, 전사 후 과정과 번역 후 과정들이 각각 전 세포 또는 핵의 일주기 단백체에 관하여 주요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남.


- 더 나아가, ECD 는 전사체의 64%, 전 세포 단백체의 98%, 그리고 핵 단백체의 95% 관련 리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재규명됨.

시사점

- 일주기 조절 cis-elements, RNA 처리 그리고 단백질 localization 의 변화가 지방과 탄수화물 대사의 일주기 조절을 감소시키고, ECD 회복 1주일 후에 지속시킨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큼.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제목 단백질의 pH 의존적 구조 변화 분석 추천 연구 논문 Molecular Dynamic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za Hemagglutinin Conformational Changes in Acidic pH 선정...

 
 
 

댓글


과기부.jpg
연구재단.jpg
logo.jpg

#520, Research and Business Cooperation Building, Korea University Sejong Campus

Sejong-ro 2511, Sejong City, 30019, Republic of KOREA

© 2022 by

Biological Clock-based Anti-Aging Convergence RLRC

bottom of page